제 1회 혈당능력고사 해설편

Apr 19, 2023

혈당 능력고사를 아직 안보신 분이라면?

https://glucofit.waveon.io


1. 나를 살찌게 하는 영양소가 아닌 것은?

정답 : 나트륨

탄수화물, 단백질, 지방의 경우 1g당 4kcal, 4kcal, 9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어서 많이 섭취하면 살이 찔 수 있어요!대표적인 나트륨인 소금은 그 자체로 0Kcal, 즉 열량이 없기 때문에 아무리 많이 먹어도 체지방을 늘릴 수는 없답니다.


2.야채와 과일은 많이 먹어도 괜찮다

정답: x

과일은 식이섬유와 식물영양소, 비타민이 많은 건강 식품이지만, 과일 속 당분은 혈당을 높여요. 따라서 몸에 좋다고 무작정 많이 먹기 보다는 소량 섭취하는 걸 권장드립니다! 혈당을 관리한다면 당도가 높은 과일은 피해주세요.


3.짜게 먹으면 살이 찔 것이다

정답: x

흔히 짜게 먹으면 살이 찐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예요. 음식을 짜게 먹으면 나트륨 섭취로 인해 몸에 수분이 쌓이면서 몸이 부을 수 있는데, 그 물의 무게 때문에 실제로 체중이 올라가고 몸의 부피가 커 보인답니다. 하지만 일시적으로 부은 것은 체내 수분이 빠지면 곧 원래대로 돌아오기 때문에 살찐 게 아니예요!


4.먹는 순서만 바꿔도 살이 찌지 않는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다음 중 건강한 음식 섭취 순서는 무엇일까요?

정답: 섬유질- 단백질 - 지방 - 탄수화물

우리가 채소, 단백질과 지방, 탄수화물 순서로 음식을 먹으면, 섬유질이 장에 만드는 그물망 덕분에 내가 섭취한 음식들이 소화기관으로 내려오는 속도와 양을 줄일 수 있어요. 포도당이 혈류로 천천히 들어갈 수록 혈당 곡선을 완만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, 체중 증가, 음식 갈망, 식곤증 그리고 그 외에 혈당 수치가 줄 수 있는 장기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!


5.다음 중 설탕이 아닌 것은?

정답: 알룰로스

비정제 설탕, 메이플 시럽과 같은 건강한 설탕에 속지 마세요! 과일을 먹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게는 넘치는 과당이 공급되고 있어요. 알룰로스의 단맛은 설탕의 70%이지만 칼로리가 거의 없고 혈당을 올리지 않는 천연 대체감미료랍니다!


6.오늘 회식은 중국집으로 정해졌다. 올바른 나의 행동은?

  • 짬뽕을 먹을 때는 면만 먹기보다 야채, 해산물을 통해서 식이섬유와 단백질을 함께 섭취해주시는 것이 혈당 자극을 덜 할 수 있습니다. 나트륨은 우리 몸에 살을 찌게 하지는 않습니다.

  • 짜장면만 먹기보다 야채볶음, 소고기를 통해 식이섬유와 단백질을 섭취해주세요! 탄수화물만 단독으로 먹는 것은 혈당 스파이크의 주범입니다.

  • (정답) 야채 > 해산물 > 짜장면 처럼 야채 > 단백질 > 지방 > 단백질 의 순서로 음식을 먹을 경우 혈당 스파이크를 완화하고, 결과적으로 살이 덜 찔 수 있습니다.


7.다이어트 결심 후 내일 아침 첫 끼를 고민중이다. 나의 선택은?

  • 비타민C, 식이섬유가 가득한 과일 위주의 식단 : 과일에 함유 되어 있는 당질 중에는 과당이라는 물질이 많습니다. 포도당은 몸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반면 과당은 포도당 저장고(글리코겐)이 차있는 상태에서는 지방으로 바로 저장이 됩니다.

  • 저지방 우유와 다이어트용 시리얼 : 시리얼은 섬유질이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녹말에 단지 설탕이 첨가된 식품이기 때문에, 칼로리를 적더라도 큰 혈당 스파이크를 유발합니다.

  •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챙길 수 있는 에너지바 : 시중에 판매되는 에너지바는 당류가 많이 포함된 경우가 많습니다. 하루 당류 섭취량은 최대 50g을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
  • (정답) 지방이 함유된 오일, 닭가슴살, 통밀빵 : 아침은 하루의 첫끼이고, 공복 상태인 만큼 우리 몸이 민감하게 반응합니다. 적당한 양의 지방과 단백질을 포함하여 밸런스 있는 식단을 구성해주세요!


8.다음 영양성분표에 해당하는 음식은 무엇일까요?

  • 정답은 낫또입니다. 낫또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는 물을 흡수하는 능력과 점착력이 강하여 당이나 지방의 흡수를 지연시켜 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것을 억제합니다.


9.다음 다이어트 호르몬 중 틀린 내용을 고르세요.

  • 코르티졸은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불립니다. 특히 양질의 수면을 취하지 못했거나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분비되는데요. 코르티졸이 증가할 경우, 우리 몸은 탄수화물과 설탕을 갈망하는 상태로 만듭니다. 다이어트 중일 경우, 잠을 잘 자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.